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건강

임플란트 치료시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환자 주의해야 하는 이유

by 금광나라 2023. 3. 4.
반응형

건강한 치아는 오복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중요합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거나 사고를 당했거나 치주 질환 등으로 임플란트를 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임플란트는 생활의 질을 높여주는 치료 수단입니다. 하지만 임플란트를 결정하려면 사전에 점검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환자 임플란트 치료 주의 이유

 

전신질환인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등을 앓고 있다면 임플란트 치료를 할 때 반드시 의사에게 자신의 전신질환을 설명해야 합니다. 어떤 전신질환을 앓느냐에 따라 임플란트 이후 치유 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서입니다. 아래에 3가지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고혈압 환자의 경우

고혈압 환자 중에는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사람이 많은데 어떤 약을 얼마나 복용하고 있는지 등을 의사에게 꼭 알려야 합니다.

 

아스피린은 우리 몸에서 피가 응고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서 발치나 임플란트 식립을 할 때 지혈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치료 기간이 길어진다. 치과에서 임플란트나 발치 등을 할 때 의사의 의견에 따라 약 복용을 일시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당뇨 환자의 경우

당뇨 환자도 치료 과정에서 지혈이 잘 안 될 수 있습니다. 당뇨를 오래 앓았다면 면역력과 염증반응에 취약해 잇몸도 약해져 치주질환이 있을 수 있고 임플란트 수술을 한다면 상처가 잘 아물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잇몸이 약하면 먼저 잇몸을 튼튼하게 한 다음 임플란트 수술을 해야 합니다. 당 조절이 안정적이지 않으면 미리 의사에게 알려줘야 합니다. 임플란트 수술은 오후보다는 오전에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3.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에는 질환 자체가 임플란트 수술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다만 비스포스포네이트 성분의 골다공증 치료제를 복용한 환자의 경우에는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의 활동이 줄어들면서 뼈를 형성하는 조골세포의 활동이 동시에 감소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이런 환자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잇몸뼈의 골유착(임플란트 표면과 살아있는 뼈의 직접 접촉)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고 심각한 경우 턱뼈가 괴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골다공증 환자도 반드시 의사와 상의한 후 약물을 끊거나 다른 성분으로 바꿔야 합니다. 

 

 

현대차 기아차 신규채용, 입사 지원 열풍 이유 분석

현대차와 기아는 2023년 총 800명의 생산직을 신규 채용할 계획입니다. 현대차는 올해 상반기 400명, 하반기 300명을 채용합니다. 기아는 하반기에 100명을 채용합니다. 이러한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goodstorymarket.tistory.com

 

 

 

머스크의 뉴럴링크, 인간 뇌에 칩이식 실험 FDA 거부 당해

일론 머스크가 추진하는 인간의 뇌에 칩을 이식하는 실험이 미국 보건당국으로부터 불허 결정을 받았다고 합니다. 로이터 통신은 3월 2일(현지시간), 머스크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

goodstorymarke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