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2023년 정월 대보름 - 유래, 꼭 먹는 음식 6가지, 놀이, 행사, 금기 사항 알아보기

by 금광나라 2023. 2. 1.
반응형

2023년 정월 대보름

날짜 : 2023.02.05.(), 매년 음력 115

소개 : 새해 첫 보름날로써 농사의 시작일을 의미하는 날

월출 시간 : 서울 지역 기준으로 달이 뜨는 시간은 1721, 지는 시간은 732

 

정월-대보름-포스터
정월 대보름

정월 대보름날의 여러 가지 궁금증 연구

음력 정월 대보름은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 명절의 하나입니다. 하지만 그동안 코로나19로 인해 행사도 거의 없었고, 음식도 흐지부지되는 등 젊은 층에겐 조금 더 멀어진 절기가 되었습니다. 2023년 정월대보름에는 이런 행사들도 다시 시작했습니다. 알듯 말듯 궁금한 정월 대보름 놀이와 행사, 음식, 금기사항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정월 대보름 유래

음력 새해의 첫 보름날을 뜻합니다. 전통적인 농경사회였던 한국에서는 마을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해 농사의 풍요와 안정을 기원하는 날이었습니다. <삼국유사>에 정월 대보름에 대한 첫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물론 그 이전부터도 대보름은 한국의 중요한 절기였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꼭 먹어야 할 음식 6가지

①오곡밥

오곡밥은 찹쌀, , 수수, , 검은콩 등 다섯 가지 이상의 곡식으로 지은 밥입니다. 여러 곡식으로 밥을 지어서 영양가도 많습니다.

 

정월대보름-오곡밥
오곡밥

 

 

 

②묵나물

정월 대보름에는 묵은 나물을 먹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고사리, 버섯, 호박고지, 무말랭이, 가지나물, 취나물 등을 말려두었다가 보름날 나물을 무쳐 오곡밥이나 약밥과 같이 먹었습니다. 묵나물을 먹으면 그 해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묵나물
묵나물

 

 

③복쌈

김이나 배춧잎, 취나물 잎으로 오곡밥이나 찰밥을 싸 먹는 것을 복쌈이라고 합니다. 대보름에 복쌈을 먹으면 그 해에 복이 들어온다고 믿었습니다.

 

④약밥

약식이라고도 하는 약밥은 찰밥에 밤, 대추, 꿀 등을 넣어 쪄서 지은 밥이 약이 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밥에 꿀이 들어가니 꿀맛이겠네요. 지역마다 약밥이나 보리밥 등을 나물과 함께 담 위에 얹어 놓아 까마귀가 먹도록 했는데 이를 까마귀밥을 차린다고 했습니다.

 

 

⑤귀밝이술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는 찬 술을 마시는데, 이를 귀밝이술이라 합니다. 일 년 동안 귀가 잘 들리고 좋은 소식만 듣게 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술을 싫어해도 마셔봅시다. 

 

⑥부럼

, 호두, , 은행, 땅콩을 부럼이라고 합니다. 정월 대보름날에는 껍질이 단단한 견과류를 깨물어서 마당에 버리는데, 이를 부럼 깨기라고 합니다. 부럼을 깨물었을 때 하는 소리에 귀신이 놀라 도망간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먹을 거리가 많지 않았던 시절에 부스럼, 눈다래끼, 종기가 자주 났기 때문에 견과류를 섭취하여 영양을 공급하고자 했던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풍속입니다. 단번에 깨물어야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쥐불놀이
쥐불놀이

 

 

정월 대보름 놀이

연날리기

겨울의 대표적인 민속놀이인 연날리기는 정월 대보름날에는 그동안 가지고 놀던 연을 날려 보내는 것으로 마무리를 하게 됩니다. 이제 농사 준비에 들어가야 하거든요.

 

쥐불놀이

말라 있는 논과 밭에 불을 지르며 돌아다니는 놀이입니다. 구멍을 뚫어 놓은 깡통에 짚을 넣어 불을 지핀 다음 빙빙 돌리면서 던져 잡초 등을 태워 해충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지혜였습니다. 그러나 산불 위험이 있어서 현대에는 안전한 곳에서 하거나 진행하지 않습니다.

 

널뛰기

정월대보름날 밤에 여성들이 모여 널뛰기를 합니다. 상당히 힘든 운동인데, 여성들의 건강을 위해 유래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횃불 싸움

이웃 마을과 다리를 사이에 두고 횃불을 든 상태로 싸우는 놀이입니다. 요즘엔 하지 않습니다.

 

정월 대보름 행사

①달집 태우기

 

 

달이 떠오르는 시간대에 나무와 짚으로 만들어 놓은 달집을 태우면서 주위를 환히 밝히고 빙 둘러 강강술래 놀이를 합니다. 액운을 쫓고 복을 부르기 위한 놀이라고 합니다.

 

달맞이

해가 지기 시작하는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을 맞이하면서 소원을 빕니다. 달 뜨는 시간은 맨 위에 있습니다. 

 

다리밟기

마을에 있는 다리를 밟으면 인체의 다리가 튼튼해질 것이라 믿었다. 다리를 12개 밟으면 열두 달 내내 건강하다고 믿기도 했습니다.

 

보름 새우기

정월대보름의 달이 사라질 때까지 밤을 새우는 풍습입니다. 전기가 없던 옛날에는 등불을 모두 켜놓은 상태로 환하게 지새웠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강아지-밥-금지
정월대보름날 강아지 밥 금지 풍속

 

정월 대보름날 금기 사항

한국은 전통적인 농경사회였으므로, 정월 대보름에는 이에 피해가 될 것을 미리 경계하는 금기가 많았습니다.

 

정월 대보름에는 찬물을 먹지 못하게 했습니다. 여름 내내 더위를 먹으며, 논둑이 터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비린 것, 즉 육류를 먹지 말라는 금기도 있었습니다. 보름날에 비린 육류를 먹으면 여름에 파리가 늘어나고 몸에는 부스럼이 생긴다고 여겼습니다. 대신 오곡으로 지은 밥과 나물을 먹었던 것입니다.

 

③정월 대보름날 까마귀에게는 밥을 주지만, 집에서 기르는 개에게는 밥을 주지 않았습니다. 이 날 개에게 밥을 주면 개가 여름 내내 잠을 많이 자며 개에게 파리가 많이 달려든다고 믿었습니다.

 

칼 질을 하면 부정을 탄다고 보아 정월 대보름날에는 칼질을 하지 않았습니다.

 

집의 문에 키 작은 사람이나 아이가 가장 먼저 출입하는 것을 못하게 했습니다. 농작물이 잘 안 자란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는 마당을 쓸지 않았습니다. 마당을 쓸면 한 해 복이 나간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오후에 빗자루질을 할 때도 바깥쪽이 아니라 안쪽을 향해 쓸도록 했습니다.

 

 

"제발 돈 찾아가세요."-17조원이 주인을 기다리는 중

 

"제발 돈 찾아가세요."-17조원이 주인을 기다리는 중

고객들이 금융사에 맡긴 뒤 찾아가지 않은 돈이 17조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잠자는 돈 찾아가세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월 31일 이런 돈을 찾아주기 위해 금융사들이 ‘숨은 금융자산 찾

goodstorymarket.tistory.com

 

 

난방비 지원 차상위 계층까지 확대

 

난방비 지원 차상위 계층까지 확대

난방비 지원을 차상위 계층까지 확대합니다. 대통령실은 지난 1월 26일 기초수급자 등 취약계층 118만가구에 대한 에너지바우처 2배 확대 지원을 발표했었지요? 그런데 그 지원책을 발표한 지 닷

goodstorymarket.tistory.com

 

 

겨울철 난방비 폭탄 막기 위한 10가지 방법(바로 보기 꿀팁)

 

겨울철 난방비 폭탄 막기 위한 10가지 방법(바로 보기 꿀팁)

난방비 폭탄.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의 급등과 이상 기온 탓에 전 세계적으로 기록적인 한파가 지속되어 난방비의 부담이 폭증했습니다. 대한민국도 마찬가지입니

goodstorymarke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