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3월 8일 여론 조사] 이재명 물러나야 53.8%...윤석열 지지율 첫 40%

by 금광나라 2023. 3. 9.
반응형

[3월 8일 여론 조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거취에 대해 국민 절반 이상(53.8%)'물러나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말 국회에서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이 부결된 것이 '잘못됐다'는 답변도 52.1%로 나왔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대표-물러나야-여론-절반-넘어윤석열-대통령-지지율-40%-환호하는-사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윤석열 대통령

 

 

이재명 물러나야 여론 높고, 윤석열 지지율 첫 40% 올라

 

3월 8KBS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검찰 수사와 재판을 받고 있는 이 대표가 당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하는지 물은 결과 응답자의 53.8%'물러나야 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물러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40.7%였다. '모름' 또는 무응답은 5.5%였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물러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77.3%, '물러나야 한다'(19.6%)보다 훨씬 높았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구속에 찬성하는 비율이 86.2%에 달했고, 민주당 지지층에선 10.3%였다.

 

이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해선 '정당한 범죄 수사'라는 응답이 53.9%, '정치 보복 수사'라는 응답이 40.7%였다. 5.4%는 의견을 유보했다.

 

내년 4월 치러질 총선에 대해선 '정부 안정론''정부 견제론'이 오차범위(±3.1%p) 안에서 팽팽하게 갈렸다.

 

응답자의 48.1%'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답했고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응답은 43.9%였다.

 

반응형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은 40%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5월 취임 이후 실시한 KBS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긍정 평가가 40%를 넘은 것은 처음이다.

 

윤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를 조사한 결과, 40.4%'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부정 평가는 55.9%로 나타났다.

 

긍정평가 이유로는 '노동 개혁 추진'40.8%로 가장 많았고 '한미 동맹 강화'(17.4%), '경제 및 민생 대책'(11.8%) 등이 뒤를 이었다.

 

부정 평가 요인으로는 '경제 및 민생 대책 소홀'26.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측근 편중 인사 및 부실 검증'(23.6%), '국민 및 언론과의 소통 부족'(18.7%) 순이었다.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36.7%)이 민주당(33.3%)에 3.4%포인트(p) 앞섰다. 정의당은 4.3%를 기록했고 '지지 정당 없음'21.3%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으로 이뤄졌다.

 

응답률은 19.6%이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p이다. 자세한 내용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스즈메의 문단속' 시사회 인터뷰 자세한 내용 정리

3월 8일 개봉한 '스즈메의 문단속'은 우연히 재난을 부르는 문을 열게 된 소녀 '스즈메'가 일본 각지에서 발생하는 재난을 막기 위해 필사적으로 문을 닫아가는 이야기입니다. 이 날 서울 성동구

goodstorymarket.tistory.com

 

 

 

'불타는 트롯맨' 손태진 우승 소감, 그가 부른 노래들

성악가 출신인 손태진이 ‘불타는 트롯맨’의 우승을 차지하며 상금 약 6억 2000만 원의 주인이 됐습니다. 3월 7일 방송된 MBN 트로트 오디션 ‘불타는 트롯맨’은 전국 시청률 16.2%를 기록하며 막

goodstorymarket.tistory.com

 

 

 

황철순, '코미디 빅리그' 징맨 아내 폭행...연출된 상황? 사건 정리

tvN '코미디 빅리그'에서 '징맨'으로 이름이 알려진 스포츠트레이너 황철순이 아내 A씨를 폭행하는 모습이 공개됐습니다. 3월 8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황철순이

goodstorymarket.tistory.com

 

반응형

댓글